명리학/계절4 이분이지(二分二至) 이분이지(二分二至)Two Equinoxes and Two Solstices '이분이지(二分二至)'는 황도(黃道)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24절 기력'에서의 ➊봄, ➋여름, ➌가을, ➍겨울을 뜻한다. 이 중에서 '이분(二分)'은 봄과 가을이며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 ➊춘분(春分)과 ➋추분(秋分)이라 하고, '이지(二至)'는 여름과 겨울로서 낮이 가장 긴 ➌하지(夏至)와 밤이 가장 긴 ➍동지(冬至)로 나뉘어 있다. 지구에서 관측된 황도 상의 '이분이지(二分二至)'는 그림 1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태양은 자리 이동이 크지 않고, 지구 공전에 의한 위치 변화이므로 아래와 같다. 모두 태양과의 거리가 같지만 계절이 반대로 나타나는 이유는 다름아닌 '지구의 자전축' 때문이다. '춘분'과 '추분'은 지구의.. 2025. 1. 12. 24절기와 황도12궁 - Matches the 24 Solar Terms and 12 Zodiac Signs 24 절기와 황도 12궁 매칭Matches the 24 Solar Terms and 12 Zodiac Signs '황도 12궁'과 '24 절기'의 상관관계와 그 일치성을 살피는 것은 태양의 움직임과 관련된 천문학적 기준에서 비롯했기 때문이다. 이 둘은 모두 태양이 '황도(黃道)'를 따라 이동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되었고, 동일한 맥락에서 계측하였으니, 지구의 공전과 자전축 기울기를 기반으로 (어느 정도) 상호 연관되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황도대(黃道帶, Zodiac)황도 위, 아래 각각 8º씩 총 16º의 범위를 황도대(黃道帶/Zodiac)라 한다. 황도대를 기준으로 서양의 12개의 별자리가 관측되었고, 곧 '황도 12궁(The 12 Zodiac Signs)’이다. * 황도대를 황.. 2025. 1. 9. 8품 8품(八稟) ‘8품(八稟)’은 24 절기에 따른 ‘계절(月) 중심’의 오행상생을 바탕으로 ‘창광, 김성태 선생님’에 의하여 근대에 이르러 재정립된 '자평명리 해석법'을 지칭한다. 창광선생님은 여기저기 파편처럼 흩어져있는 자평명리학의 명확한 ‘근원’을 토대로, 오랜 시간 연구와 그 내용을 축적하신, 근대의 심도 있는 ‘소수의 명리학 선생님들’ 중 한 분이시다. 24 절기를 통한 '순환상생'이라는 시간의 섭리 속에서 상대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는 개인의 역할과 능력을 누구나 알아보기 쉽게 ‘도식화’ 하신 것이 ‘8품(八稟)’이다. ‘계절학’ 또는 ‘절기학’이라고도 불리우는 ‘명리학’은 '지속적이고 일방적인 시간(時間)의 흐름’을 대전제로, 한 인간이 타고난 계절(환경)과 의식의 흐름이 ‘현재’라는 시간의 .. 2025. 1. 2. 24절기 24절기 24절기력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눈 양력이다. 중국에서 기원하여 현재, 우리나라는 물론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원은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년)’로부터 형성되어 ‘전국시대’에 이르러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니, 퉁쳐서 약 2500년 전부터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고대 농경 사회에서 태양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파종과 원활한 수확을 목적으로 계절의 변화를 정밀하게 관찰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숫자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각 절기마다 발생하는 자연현상을 나타내어 '아주 가까운 미래의 행동 지침서'와 같은 액션플랜으로 사용되어 온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 24절기는 농업뿐 아니라 생활의 리듬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까지 하고 있다. 24절기력은.. 2024. 12. 31. 이전 1 다음